네트워크관리실습 2주차 정리
<토폴로지(topology)>
ㅇ계층형(Tree)
-트리 구조 형태로 정보통신망을 구성
-장점
(1)네트워크 관리 및 확장 편리
(2)높은 신뢰도
(3)정보 단말 장치 추가 용이
-단점
(1)특정 노드 트래픽 집중 시 네트워크 속도 저하
(2)병목 현상 발생 가능
ㅇ버스형(Bus)
-하나의 통신회선을 모든 노드가 공유
-끝 단에 신호반사를 막기 위한 Terminator 사용
-ex)IEEE 802.4
-장점
(1)설치비용 저렴
(2)높은 신뢰도
(3)간단한 구조 및 쉬운 노드 추가
-단점
(1)많은 전송 데이터 전송 시 병목 현상 발생
(2)장애 발생 시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
ㅇ성(星)형(Star)
-하나의 중앙 분리기를 중심으로 다른 노드들이 연결
-LAN(Local Area Network, IEEE 802.3)에서 가장 많이 사용
-장점
(1)고속 네트워크에 적합
(2)쉬운 노드 추가
(3)에러 탐지 용이
(4)노드 장애 발생 시에도 가능한 네트워크
-단점
(1)중앙 분리기 고장 시 전체 영향
(2)고가의 설치 비용
(3)노드 증가 시 네트워크 복잡도 상승
ㅇ반지형(Ring)
-인접해 있는 정보 단말기가 연결된 구조로, 토큰링(Token Ring)에서 사용
-장점
(1)노드의 수가 증가 되어도 데이터 손실이 없음
(2)충돌이 발생하지 않음
(3)경제적
-단점
(1)네트워크 구성의 변경이 어려움
(2)회선에 장애 발생 시 전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음
ㅇ망형(Mesh)
-주로 정보통신 네트워크(ex)인터넷)에서 사용
-하나의 통신회선이 고장나도 다른 회선으로 통신 가능
-원활한 데이터 통신과 불필요한 데이터의 소거를 위해서 적절한 라우팅 기법 및 주소 체계 필요
-회선의 교환은 라우터(router)에서 수행
-장점
(1)다중화 회선을 통해 장애 발생에 내성
(2)많은 양의 데이터 송수신 가능
-단점
(1)고가의 구축, 운영 비용
<교환망>
ㅇ회선 교환(Circuit Switching)
-교환기를 통해 통신 회선을 설정하여 직접 데이터를 교환
-ex)음성 전화
-Point to Point
-장점
(1)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 시 유리
(2)고정적 대역폭(bandwidth) 사용
*대역폭 : 데이터 통신에서 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의 차이, 표현 단위는 Hz.
대역폭이 클수록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걸 의미
(3)아날로그/디지털 데이터로 직접 전달
(4)연속적 전송에 용이
(5)높은 보안성
-단점
(1)회선 이용률 측면에서 비효율적
(2)고가의 통신비용
ㅇ패킷 교환(Packet Switching)
-패킷을 여러 경로로 공유
-가상 회선/데이터그램 교환 채널 사용
-ex)인터넷 통신
-패킷마다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고 전달
-장점
(1)높은 회선 이용률
(2)회선 장애 시 우회 전송을 통한 신뢰성 향상
-단점
(1)예상 불가한 지연 발생
(2)패킷 별 헤더 추가로 인한 오버헤드
ㅇ메시지 교환(Message Switching)
-송신된 메시지를 중앙에서 축척
-적당한 양 또는 시간 이후 한번에 전달
-수신된 메세지들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 가능
-단점
(1)느린 응답속도
(2)대화형 시스템 적용 어려움
<LAN>
ㅇLAN(Local Area Network)
-제한된 일정 지역(수백 m) 내 분산 설치된 각종 기기 사이에서 통신
-자원 공유, 분산 처리, 분산 제어, 정보 교환 등에 사용
-channel : 데이터 통신을 위해 통신 매체에서 제공하는 통로
-장점
(1)적은 전송되는 패킷 손실 및 지연
(2)높은 신뢰성
(3)저렴한 구축비용
-단점
(1)짧은 전송 거리
(2)다수의 노드일 경우 충돌이 늘어나 성능 하락
-관련 프로토콜
(1)ALOHA(Additive Link Online Hawaii Area) :
송신 데이터가 있을 시 바로 보내고 회신하는 형태. 송신 측에서 다시 받은 메세지를 확인하여 성공여부를 판단
(2)Slotted ALOHA : 패킷 충돌 확률을 감소시킨 ALOHA의 향상버전. 기존보다 2배 속도향상.
(3)CSMA/CD
ㅇCSMA(Carrier-Sense Multiple Access)
-전송매체(랜케이블)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신호가 감지될 경우 대기, 없을 경우 송신하는 형태
-CSMA/CD(Collision Detection) : CSMA에서 신호가 없을 때 바로 송신할 때 발생하는 충돌 예방을 위해
임의 시간을 대기 후 송신하는 형태로 변화한 형태. 하지만 충돌을 완전 예방할 수는 없음.
ㅇIEEE 802 위원회
-LAN 관련 표준화를 수행하는 표준화 기관
-세부 조직
(1)IEEE 802.2 : LLC(Logical Link Control)
(2)IEEE 802.3 : Ethernet(CSMA/CS)
(3)IEEE 802.4 : Token Bus
(4)IEEE 802.5 : Token Ring
(5)IEEE 802.11 : Wireless LAN(CSMA/CA)
(6)IEEE 802.14 : CATV
(7)IEEE 802.15 : WPAN
-IEEE 802.15.1 : Bluetooth
-IEEE 802.15.4 : Zigbee
(8)IEEE 802.16 : WiMax
출처 : 이기적 네트워크관리사 1,2급 필기 - 임호진, 황성하 저, 네트워크 관리실습 강의자료 - 김병국 교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