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. 10. 19. 12:40ㆍ네트워크 기초
<통신 프로토콜>
ㅇ통신(의사소통-Communication)
-개인과 개인 또는 다수, 다수와 개인 등 모든 분야에서 의사 전달을 위해 사용
-일반적으로 송신자, 수신자, 대화내용(메세지)가 포함
-대화(통신) 불가 상태의 예
(1)다른 언어
(2)일방적 송신
(3)대화자 간 장애물
ㅇ컴퓨터의 통신
-기본적으로 네트워크가 필요하며, 전달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0과 1로 구성됨
-통신 거리에 따라 종단장치(DTE) 사이에 다양한 장치가 구성
-데이터의 정상적인 전송 및 처리를 위해서는 서로 간의 규칙(약속)이 필요->protocol
-프레임에는 최소한 송신자, 수신자, 메시지가 필요하며, 통신에 따라 요소가 추가됨
ㅇ통신 프로토콜
-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객체 간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미리 약속한 통신 규약
-*기본 요소
(1)구문(Syntax): 데이터의 형식과 (신호 방식 및 정의를 포함하는)부호화를 포함하여
객체 간 데이터의 내용을 구분(parsing)하기 위한 문장 구조를 정의,
사람의 언어에서 문법에 해당
(2)의미(Semantics): 구문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행동(action)을 취하기 위한 방법(how),
사람의 언어에서 단어에 해당
(3)타이밍(Timing): 메시지의 송/수신을 위한 서로 간의 시간적 약속
사람의 언어에서 말의 속도와 대답 시간에 해당
<OSI 참조 모델>
ㅇISO(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)
-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표준화 정의를 위한 국제위원회로써,
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호환되기 위한 표준을 정의함
-CCITT(Consultative Committee for International Telephony & Telegraphy):
ISO 산하의 전화관련 국제 자문 위원회
ㅇOSI(Open System Interconnection) 참조 모델
-1960년대부터 데이터통신 개념이 등장하여, 70년대부터 독립적 네트워크가 출현함
-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표준의 필요성이 등장하여 ISO에서 데이터 통신에 대한 모델을 규정
-모델의 구조
응용 계층 |
표면 계층 |
세션 계층 |
전송 계층 |
네트워크 계층 |
데이터 링크 계층 |
물리 계층 |
ㅇOSI 7계층 상호 간의 데이터 전달 원리
-최상위 계층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각 계층에서 헤더정보를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차례로 전달
-물리 계층에 도달 시 각 계층에서 헤더에 해당되는 부분을 벗긴 후 최상위 계층으로 순차적으로 전달
-통신 거리가 멀 경우 3계층을 보유한 중계기를 활용
ㅇOSI 7계층의 역할
해당 계층 | 역할 | 사용 단위 |
응용(Application) 계층 | 통신관련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입력/출력 제공 |
메시지/데이터 (Message/Data) |
표현(Presentation) 계층 | 데이터의 재구성 및 구문 검색 (예: HTML, 암호화) |
|
세션(Session) 계층 | 연결에 대한 설정/관리/해제와 대화 및 동기 제어 |
|
전송(Transport) 계층 | 종단(endpoint) 간 데이터 전송, 순서 변경, 재조립, 오류 복구. 흐름 제어 (예: TCP, UDP) |
세그먼트 (Segment) |
네트워크(Network) 계층 | 경로 설정, 종단 장치(DTU) 간 데이터 전송, 네트워크 주소 지정 (예: IP) |
패킷/데이터그램 (Packet/Datagram) |
데이터링크(DataLink( 계층 | 이웃 장치 간 접속 방식, 오류 검출/정정, 흐름 제어, 프레임 동기화 (예: LAN의 LLC와 MAC) |
프레임 (Frame) |
물리(Physics) 계층 | 기계적, 전기적 또는 광 특성의 신호 전송 | 비트(Bit) |
<통신 프로토콜의 구조>
ㅇ계층(Layer)
-Open System을 위한 여러 Sub-Systems가 논리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
-부시스템은 계층화된 순서로 정의
-Open System(개방형 시스템): 표준을 기본으로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것
-인터페이스: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 사이를 연결
-객체(Entity): 시스템에서 각 계층의 일을 수행하는 기능 모듈의 실체
-프로토콜: 자신과 동일한 계층에서 주고받는 통신
ㅇ데이터 단위의 종류
-서비스 데이터 단위(SDU-Service Data Unit): 상위계층으로 전달되는 데이터 단위
-프로토콜 데이터 단위(PDU-Protocol): 동일 프로토콜 계층 간 사용되는 데이터 단위
-프로토콜 제어 정보(PCI-Protocl Control Information): PDU 중 프로토콜의 제어를 위한 헤더(또는 테일) 부분
-흐름 제어(flow control) : 전송을 받는 개체에서 발송지로부터 오는 데이터의 양이나 속도를 제한하는 프로토콜\
출처 : 이기적 네트워크관리사 1,2급 필기 - 임호진, 황성하 저, 네트워크 관리실습 강의자료 - 김병국 교수
'네트워크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관리실습 6주차 정리 (0) | 2022.10.20 |
---|---|
네트워크관리실습 5주차 정리 (0) | 2022.10.20 |
네트워크관리실습 3주차 정리 (0) | 2022.10.19 |
네트워크관리실습 2주차 정리 (1) | 2022.09.14 |
네트워크관리실습 1주차 정리 (1) | 2022.09.05 |